IT기술

반도체 업계 취업 가이드. backend 설계 직무 현직자가 말합니다

backend엔지니어 2023. 3. 7. 08:05

반도체 업계 취업 가능 회사 종류

반도체 업계는 다양한 종류의 회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반도체 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와 회사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파운드리 (Foundry) : 반도체 파운드리는 다른 회사의 디자인에 따라 반도체 칩을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들은 특정 디자인을 기반으로 다양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데 필요한 제조 과정을 수행합니다. TSMC, Samsung Foundry, Global Foundry, UMC.

2. 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 IDM은 반도체를 설계하고, 제조하고,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들은 파운드리와 달리 자체적으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IDM은 인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입니다.

3. Fabless : Fabless는 반도체를 설계하지만, 직접 생산하지는 않는 회사입니다. 대신, 파운드리와 제조 계약을 체결하여 제조를 위탁합니다. Fabless Fabless Qualcomm, NVIDIA, Broadcom.

4. OSAT (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OSAT는 반도체 칩을 제조한 후, 패키징과 테스트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들은 파운드리와 함께 반도체 생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OSAT, ASE, Amkor Technology, STATS ChipPAC.

5. 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 EDA는 반도체 디자인을 돕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들은 반도체 디자인에 필요한 CAD (Computer-Aided Design) 도구 등을 제공합니다. 대표회사 EDA 로Cadence, Synopsys, Mentor Graphics등이 있습니다.

6. IP (Intellectual Property) : IP는 반도체 디자인에서 필요한 부품들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들은 디자인에 필요한 코어, 메모리, 통신 등의 기능 모듈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IP 회사로는 ARM, Rambus, CEVA 등이 있습니다.

7. 펩리스 (Fabless Foundry) : 펩리스는 Fabless와 파운드리의 기능을 모두 갖춘 회사입니다. 즉, 반도체 디자인과 제조를 동시에 수행합니다. TSMC, 삼성 파운드리, 글로벌 파운드리.

 

반도체 업계는 이렇게 7가지의 종류의 회사들이 있고, 이쪽 분야에서 취직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펩리스에 포함되어 있는 디자인 하우스에 재직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이번 글은 디자인 하우스에 대해서 주로 다루겠습니다.

 

디자인 하우스란?

디자인 하우스(design house)는 반도체 설계와 관련된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대개 디자인 하우스는 주로 IC(Integrated Circuit, 통합 회로) 디자인,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 재산권) 라이브러리 디자인, SoC(System on Chip, 칩 위에 시스템을 통합한 제품) 디자인 등을 수행합니다. 또한 반도체 제조사와 협력하여 고객의 요구 사항에 맞게 반도체 제품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디자인 하우스는 대개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반도체 설계 과정 전반에 걸쳐 종합적인 기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대한민국에 있는 디자인 하우스

1. 삼성전자 LSI 사업부: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디자인 하우스 중 하나입니다. 삼성전자의 LSI 사업부는 반도체 제품의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을 처리합니다.

2. 하이닉스: 대한민국의 반도체 제조사 중 하나로, DRAM, NAND 플래시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합니다. 하이닉스는 제품 설계와 공정 기술 등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디자인 하우스 기능도 수행합니다.

3. 메디아텍: 대한민국의 모바일 SoC (System on Chip) 디자인 회사입니다. 메디아텍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제품의 SoC 설계 및 제조를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4. 엠씨디: 대한민국의 디지털 TV SoC 디자인 회사입니다. 엠씨디는 안드로이드 TV 등 다양한 디지털 TV 제품의 SoC 설계와 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5. 파인디지털: 대한민국의 디자인 하우스로, 멀티미디어 SoC, 카메라 모듈, AI 등의 제품을 개발합니다. 파인디지털은 세계적인 제조사와 협업하며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6. 시그널 프로세싱: 대한민국의 통신 및 방송용 SoC 설계 전문 회사입니다. 시그널 프로세싱은 통신, 방송 및 무선통신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7. 에이직랜드 (ASICLAND) : ASIC/SoC 설계 및 생산, IP 개발 및 판매, 시스템 기술 개발: 다양한 산업용 칩 및 시스템, 패키지 솔루션, IoT/Wearable 디바이스 등 제작합니다.

8. 가온칩스 (GAONCHIPS) : 칩 디자인, IP 개발, 테스트 및 인증 등 다양한 SoC, MEMS, RF 칩 등 제작합니다.

9. ADT : 초소형 SoC, 초고속 Interface, 초고성능 Low Power 디자인 등 MCU,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 센서 제작합니다.

 

대한민국에 있는 디자인 하우스 회사들 목록입니다.

 

취업하기 위해 필요한 역랑 (현직자 피셜)

취업하기 위해서는 먼저 4년제 대학을 나와야 합니다. 반도체 회사들은 4년제 학생만 뽑습니다. 주로 전자전기 공학부 학생들을 많이 뽑거나, 반도체 학과 학생들을 많이 뽑습니다.

1. 학점 : 스펙은 학점이 1순위로 중요합니다. 그다음은 반도체 관련 활동이 중요합니다. 먼저 학점이 좋지 않으면 서류 통과 자체가 안됩니다. 그렇기에 학점을 1순위로 챙기시길 바랍니다.

2. 영어점수 : 반도체 업계에서 일을 하기 시작하면 영어로 된 문서를 매일 읽어야 합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반도체 업계 회사들은 영어 점수를 봅니다. 그리고 해외 회사들과 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영어 점수가 중요합니다. 최소 오픽 IM1은 따놔야 합니다.

3. 국내 반도체 교육 센터 : 반도체 교육센터를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찾아보면 많은 곳들이 있고 그중에서 나랑 맞는 곳을 골라서 교육을 들으시면 됩니다. 제가 추천하는 건 반도체 교육 센터에서 하는 취업 연계형 교육을 듣는 것입니다. 에트리, 반도체 설계지원센터 등에서 운영하는 취업 연계형 교육이 있습니다. 교육 센터에서 설계 교육을 받고 기업과 연계하여 취업을 시켜줍니다. 대부분 교육을 받으면 회사입장에서 선호하고 차별화가 되기 때문에 취업이 쉽게 됩니다. 그렇기에 연계 교육을 추천합니다.

 

이렇게 3가지를 신경 쓰시고 자소서를 작성해서 지원을 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

 

면접 예상 질문

1. 자기소개를 해주세요.

2. 학업/진로 질문

- 당신의 전공 과목을 설명하세요.

- 당신이 직접 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세요.

- 당신의 이전 직무 역할과 업무 경험에 대해 설명하시오.

- 반도체 산업에 대한 당신의 이해를 서술하시오.

3. 전공 분야와 관련된 질문

- 당신은 장치, 회로, 시스템 중 어느 분야에 더 관심이 있나요?

- 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핵심 기술에 대해 설명하십시오.

- 오늘날 반도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4. 기술적 문제 해결 기술 질문

- 어떻게 하면 어려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 이전에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면, 어떻게 해결했습니까?

5. 성격/리더십 질문

- 당신은 협업에서 무엇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약점과 장점이 뭡니까?

- 당신이 연기한 역할 중 가장 어려웠던 것은 무엇인가요?

- 지금까지 성취한 것 중 가장 자랑스러웠던 것은 무엇입니까?

6. 기타 질문

- 입사 후 1년 동안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 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싶으세요?

- 입사 후 어떤 직업을 갖고 싶으세요?

7. 제가 실제로 받은 질문.

- 워라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 실제 반도체 업계는 워라벨에 약하다.

- 상사와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할 건가요?

- 성적이 안 좋아서 공부 안 했어요?